박성희 (테니스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성희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테니스 선수이다. 1989년 프로로 전향하여 ITF 여자 서킷에서 단식 7회, 복식 7회 우승을 차지했다. WTA 투어 복식 결승에 4번 진출하여 준우승했으며, 최고 그랜드 슬램 성적은 복식 16강이다. 복식 34위, 단식 57위의 최고 랭킹을 기록했고, 대한민국 페드컵 대표팀에서 30승 14패의 기록을 세웠다. 2000년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전미라
전미라는 윔블던 여자 주니어 단식 준우승과 WTA 투어 복식 우승 경력을 가진 대한민국의 은퇴한 테니스 선수이자, 방송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1994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다테 기미코
다테 기미코는 1990년대 세계 랭킹 4위까지 올랐던 일본의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로, 한 차례 은퇴 후 복귀하여 활동했으며, 현재는 빵집을 운영하고 "라이징 샷"의 명수로 알려져 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이형택
이형택은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로, 1995년 프로 데뷔 후 2000년 US 오픈 16강, 2003년 시드니 인터내셔널 우승 등 굵직한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테니스 아카데미 운영과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테니스 참가 선수 - 전미라
전미라는 윔블던 여자 주니어 단식 준우승과 WTA 투어 복식 우승 경력을 가진 대한민국의 은퇴한 테니스 선수이자, 방송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김일순
김일순은 ITF 서킷에서 활동하며 단식 6회, 복식 21회 우승을 기록한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이다. - 대한민국의 올림픽 테니스 참가 선수 - 권순우
권순우는 2013년 프로 데뷔 후 ATP 투어에서 두 차례 우승한 대한민국 프로 테니스 선수로, 하드코트에서 직선 포핸드와 드롭샷을 주무기로 사용하며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지만, 아시안 게임에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박성희 (테니스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Bak Seong-hui |
한글 표기 | 박성희 |
출생일 | 1975년 2월 17일 |
출생지 | 부산 |
거주지 | 서울 |
신장 | 1.67m |
오른손잡이 | (양손 백핸드) |
프로 데뷔 | 1989년 |
은퇴 | 2000년 |
총 상금 | $439,788 |
선수 경력 | |
단식 타이틀 | 7 ITF |
단식 최고 랭킹 | 57위 (1995년 9월 25일) |
복식 타이틀 | 7 ITF |
복식 최고 랭킹 | 34위 (1998년 6월 15일) |
그랜드 슬램 성적 (단식)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2라운드 (1995-96) |
프랑스 오픈 | 2라운드 (1996-98) |
윔블던 | 2라운드 (1995-96) |
US 오픈 | 2라운드 (1998) |
그랜드 슬램 성적 (복식)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3라운드 (1997-98) |
프랑스 오픈 | 3라운드 (1996) |
윔블던 | 2라운드 (1997) |
US 오픈 | 2라운드 (1996-97) |
2. 선수 경력
박성희는 1989년 프로로 전향하여 ITF 여자 서킷에서 단식 7회, 복식 7회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 생활 동안 WTA 투어 복식 결승에 4번 진출했지만 모두 준우승했다. 그녀의 최고 그랜드 슬램 성적은 복식에서 나왔는데, 1996년 프랑스 오픈, 1997년 호주 오픈, 1998년 호주 오픈에서 모두 왕스팅과 짝을 이루어 16강에 진출했다. 그녀는 복식에서 34위(1998년 6월), 단식에서 57위(1995년 9월)를 기록하며 선수 경력 최고 랭킹을 달성했다.
박성희는 대한민국 페드컵 대표팀에서 9년 동안 34번의 경기에 출전하여, 총 30승 14패, 단식 24승 12패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모두 팀 기록이다. 그녀는 2000년 투어에서 은퇴했다.
2. 1. 그랜드 슬램 대회
2. 2. 국가대표 경력
2. 3. 은퇴
3. WTA 투어 결승
3. 1. 복식: 4 (준우승 4)
박성희는 4번의 여자 복식 준우승 경력이 있다. 1995년 9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WTA 나고야 대회에서 히라키 리카와 함께 복식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6년 1월에는 호주 호바트 인터내셔널에서 케리 앤 거스와 함께 복식 준우승을 기록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니치레이 인터내셔널 챔피언십에서 왕시팅과 함께 복식 준우승을 했다. 1998년 1월에는 호주 골드 코스트에서 열린 오스트레일리아 여자 하드코트 대회에서 왕시팅과 함께 복식 준우승을 차지했다.대회 분류 |
---|
티어 I |
티어 II |
티어 III |
티어 IV & V |
No.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코트 종류 | 파트너 | 상대팀 | 스코어 |
---|---|---|---|---|---|---|---|
1 | 1995년 9월 11일 | 나고야 대회 | 나고야, 일본 | 카페트 (i) | 히라키 리카 | 케리 앤 거스 크리스틴 컨스 | 6–4, 6–4 |
2 | 1996년 1월 8일 | 무릴라 호바트 인터내셔널 | 호바트,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케리 앤 거스 | 야유크 바수키 나가츠카 교코 | 7–6(7), 6–3 |
3 | 1996년 9월 16일 | 니치레이 인터내셔널 챔피언십 | 도쿄, 일본 | 하드 | 왕시팅 | 아만다 코에체 마리 피에르스 | 6–1, 7–6(5) |
4 | 1998년 1월 5일 | 몬디알 오스트레일리아 여자 대회 | 골드 코스트,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왕시팅 | 엘레나 리코프체바 스기야마 아이 | 1–6, 6–3, 6–4 |
범례 | |
---|---|
그랜드 슬램 | |
티어 I | |
티어 II (0–1) | |
티어 III (0–1) | |
티어 IV & V (0–2) |
4. ITF 서킷 결승
최점상
손미애
이미정
이미정
표혜정
표혜정
파트리시아 타라비니
김은하
케리앤 구세
메러디스 맥그래스
케리앤 구세
리팅
요시다 유카
옐레나 코스타니치 토시치
김은하